올리버 색스의 마지만 연인이 빌헤이스라는 사실이 올리버 색스 사망 무렵에 (내게) 알려 졌었는데, 그 사실이 그렇게 흥미로울 수가 없었다. 먼저 샌프란시스코에 살던 빌헤이스가 어떻게 뉴욕에 갔을지, 다음으로는 빌 헤이스랑 같이 살던 스티브는 어떻게 되었나 같은 <불면증과의 동침> 이후의 이야기들.. 빌 헤이스와 올리버 색스와의 관계를 알고나서 올리버 색스의 회고록을 읽을때 빌 헤이스 지분을 기대 했지만, 생각보다 너무 적어서 실망 했던 기억도 있었는데, 이 책은 내가 궁금해 했던 부분, 그러니까 <불면증과의 동침>이후의 시간과 올리버 색스와의 시간을 그린 책이었다 (바로 내가 바라던!!).
뉴욕은 너무 정신 없어서 살고 싶은 도시는 딱히 아니었는데, 요즘처럼 한가한 작은 도시에서 반복되는 일상을 되풀이하고 있자니 차라리 큰 노력 없이 마음 내킬 때 이것저것 해 볼 수 있는 대도시가 더 낫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 빌은 뉴욕에 완전히 매료된것 같아 보인다. 빌 헤이스의 이야기는 계속해서 쫓아 읽어보고 싶음.
요즘은 영문이건 국문이건 사전을 거의 찾아 보지 않고, 전후 맥락을 보고 대충 짐작 하고 말아 버린다. 그런데 올리버는 늘 사전과 함께 했다고 한다. 사전을 하나 살까 싶은 충동을 느꼈을정도로 단어의 뜻 하나하나를 파악 하는 특징을 잘 묘사해 주었다. 그래서 나도 책 읽으면서 정확히 모르는 단어는 이례적으로 사전을 찾아 보기도 했다.
예를 들면
지소사: 이름을 작은 개념으로 부르는 것, 예를들면 윌리엄을 빌이라고 부르는
일람표: 순서가 정해진 항목의 모임
리비도: 태어나서 발달하는 욕구
옹골지다: 속이 실속있게 꽉 차있는
엽권련: 지권련은 잎을 썰어서 만 시가라면 여송연이나 잎권련 엽권련은 잎을 썰지 않고 만 시가...
희색: 기뻐하는 얼굴 빛
기시감: 데자뷰, 해본적 없는 일이 친숙하게 느껴지는 일
개평: 노름이나 내기에서 남이 가지게 된 몫에서 조금 얻어 가지는 공것, 원문에서는 tip이었음
마지막에 올리버가 죽은날 집에 돌아 간뒤 깊은 잠을 자고 알리네 가게에 들러 올리버가 오늘 죽었다고 전달 할때 올리버가 정말 죽은걸 선고 하는 느낌에 눈물이 났다.
빌이 48살에 올리버를 만나 마지막 올리버 가는 길을 잘 보살펴 준 것 같은데, 올리버 할아버지 복도 많았지 싶다. 나도 올리버 처럼 한평생 일에 몰두하며 살다가 마지막에 단 한사람이라도 내 곁에 머물러 있고, 마지막 인생을 스스로 어느 정도 정리 해 두고 저물 수 있다면 그보다도 더 좋은 복도 없을것 같다.
산다는것과 머문다는건 이제 큰 차이가 있는 단어가 된 것 같다. 예전에 누군가에게 무심결에 어느 도시에서 살고 싶냐고 물었더니 돌아온 답은 어느곳에도 '살고'싶지 않다는 답을 들었는데, 그때의 질문을 정정해서 다시 한다면 이제는 어느 도시에서 머물고 싶냐고 물어 보는 것이 더 맞을것 같다. 빌은 아직은 뉴욕에 더 머물것이라고 한다.
빌 헤이스의 블로그
billhayes.com
'읽은것 > 책 2018'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의 눈부신 친구 - 엘레나 페란테 (0) | 2018.06.03 |
---|---|
사피엔스 - 유발 하라리 (0) | 2018.05.20 |
나를 보내지 마 - 가즈오 이시구로 (0) | 2018.02.25 |